재테크/노트

[조쉪의 투자공부] 우선주, 보통주란?

조쉪 2021. 2. 28. 00:55
반응형

 

 

 

안녕하세요. 조쉪입니다. ^^

 

 

이번 글에서는 보통주, 우선주, 그리고 미국 증권시장에서 쓰이는 Class A, Class B, Class C 에 대해서도 모두 다 알아보겠습니다.

 

 

주식에 대해 처음 접해보신 분들을 위해 관련용어들을 정리하였으니 아래의 내용도 참고하여 봐주세요^^

 

 

조쉪의 투자공부 관련용어


디폴트(Default)란?

선물 ・ 옵션이란?

테이퍼링(tapering), 양적완화란?

액면가, 발행가, 시장가란? 차이점, 상장폐지 관련 설명 포함

APR(연간 이자율), APY(연간 수익률)이란? 계산기 포함

가치주, 성장주란? (PER, PBR설명 포함)

공매도, 대차거래란? 대차체결량, 대차상환량, 대차잔고주수 설명 포함

암호화폐란? 블록체인, 분산장부, 해시함수 요약

스톡옵션이란? 예시 장단점 요약

채권이란? 채권과 금리의 관계

기준금리, 금리란?

우선주, 보통주란? Class A, Class B, Class C 란? 예시

액면분할이란?

 

 

목차


1. 보통주란?

2. 우선주란?

3. 보통주와 우선주의 역사적 배경

4. 보통주, 우선주 vs Class A, Class B, Class C  뭐가 다르죠? 

5. 마무리

 

 

 

보통주란?


주식을 보유하고 있으면 회사의 주인이 됩니다.

 

 

 

그래서 주식을 1개만 가지고 있어도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데,

 

 

 

이렇게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일반적인 주식보통주라고 합니다.

 

 

 

우선주란?


보통주와 대비되는 주식으로, 우선주를 가지고 있어도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대신 다른 부분에서 우선권을 가지게 되는데, 대표적으로 배당금을 들 수 있습니다.

 

 

 

한국 주식시장에서는 회사명 뒤에 우를 붙여 삼성전자 우로 표시되고 있는데요.

 

 

 

「1우」, 「2B」, 「3우B」로 「우B」로 표시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발행순서를 뜻하며 숫자가 클수록 나중에 발행된 것입니다.

 

 

 

회사명뒤에 「우B」가 붙은 종목은 1996년 상법 개정 이후 발행된 신형 우선주를 말합니다.

 

 

 

보통주와 우선주의 역사적 배경


역사로 보았을때 우선주는 1840년대 영국에서 처음 발행되었는데,

 

 

 

그 당시에 철도 회사들은 투자를 더 받길 원했지만 주식을 더 발행하면 기존 주주들이 자신들의 주식가치가 떨어지는 것을 우려하여 반발했습니다.

 

 

 

또한 다른방도로 채권을 발행하려 했으나 정부의 부채비율 규제로 인해 할수 없었습니다.

 

 

 

 

결국 아이디어를 내어 일반주식처럼 발행되지만 이자를 주겠다는 방식으로 배당을 표시하여 우선주를 발행하였고, 수익에 관심있는 투자자를 모았습니다.

 

 

 

방식은 경영권을 지키며 투자금을 유치하는데에 좋은 방법이되었고 현재까지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보통주, 우선주 vs Class A, Class B, Class C  뭐가 다르죠?


해외 주식시장에서 거래를 하다보면 미국주식의 종목명에 A, B, C등의 클래스가 붙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많은 신경을 안썼지만 점점 공부를 해가면서 나의 투자 목적에 맡게 주식을 구입하는것이 중요하여 비교를 해보았습니다.

 

 

 

예를 들어, 구글의 경우는 Class A, Class B, Class C가 존재하는데 우선 Class B는 주식시장에서 거래 되고 있지 않습니다.

 

 

 

내부자용(CEO가 보유)으로 1주당 의결권 10개를 보유하게 된다고 합니다.

 

 

 

Class A의 경우는 1주당 의결권 1개 보유하게 되고 현시점(2021.6.3)으로 봤을 때, Class A는Class C 보다 약 40-50달러 싸게 거래 되고 있습니다. (아래 사진 첨부)

 

 

 

Class C의 경우는 의결권이 없으며, 이도 우선주와 비슷하게 경영권을 지키며 회사를 운영하기위해 발행하여 주로 소액 투자자, 직원들에게 나눠주어 거래 되고 있습니다.

 

 

 

 

 

 

두번째 예로 버크셔헤서웨이의 경우는 Class A와 Class B가 존재하는데요.

 

 

 

가격의 차가 어마무시합니다.

 

 

 

이는  Class A의 경우 주식을 발행한 후로 액면분할이 한번도 이루어지지않아,

 

 

 

주식의 가격이 한화로 4억 이상하는데 일반 소액투자자들이 사기 어려워 Class B를 발행하였다고 합니다.

 

 

 

우선주는 조금 다른데 Class B도 의결권은 존재하지만 Class A가 1만배 더 많습니다.(아래 사진 첨부)

 

 

 

 

마무리


보통주와 우선주 그리고 미국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Class A, Class B, Class C의 사전적 의미 역사적 배경까지 알아보는 시간이었습니다.

 

 

 

또한 실제 예시를 들어보며 차트(그래프)도 확인해보았는데요.

 

 

 

어떻셨나요? 잘 이해가 안되셨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좋은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

 

 

 

감사합니다.

반응형